
'규칙을 싫어하는 아이' 자기 조절력 발달 돕는 대화법
규칙을 싫어하고 고집을 부리는 아이, 단순한 반항일까요? 유아의 자기 조절력 발달 과정과 부모가 실천할 수 있는 대화법 3가지를 소개합니다. 감정 공감과 일관된 규칙이 아이의 자율성과 사회성을 키워줍니다.
규칙을 싫어하는 아이, 문제일까?
"싫어! 왜 또 정리야!"
"밥 다 먹고 노는 거 싫어!"
하루에도 몇 번씩 규칙을 거부하는 아이들. 많은 부모가 "우리 아이는 말을 안 들어요."라고 걱정하지만 사실 규칙을 싫어하는 행동은 자기 조절력이 자라는 신호일 수 있습니다.
자기 조절력은 '규칙 지키기'의 기초
자기 조절력은 감정과 행동을 스스로 조절하는 능력입니다. 유아기 후반(4~5세)에 폭발적으로 발달하며, 이 시기 아이는 '하고 싶은 마음'과 '해야 하는 일' 사이에서 균형을 배우는 중입니다.
● 정리 시간인데 계속 놀고 싶을 때
● 순서를 기다리기 싫을 때
● 친구가 먼저 놀잇감을 차지했을 때
이때 아이는 본능적으로 "싫어!"라고 반응하지만, 조금씩 기다림과 양보, 감정 조절을 배워갑니다.

규칙을 가르치기 전, 먼저 '감정을 공감하기'
아이에게 규칙을 바로 강요하기보다, 그 마음을 이해받는 경험이 먼저 필요합니다. "싫어도 해야지!"라는 말보다 "놀고 싶은데 정리하려니까 속상하겠다."라는 식의 감정 공감의 말은 "내 마음이 이해받았다."는 심리적 안정감을 줍니다. 이 안정감이 먼저 생겨야 규칙을 받아들이려는 여유도 함께 생깁니다.
규칙을 싫어하는 아이를 돕는 대화법 3가지
1. 규칙의 이유를 설명하기
"정리를 하면 내일 또 이 블록을 금방 찾을 수 있어."
규칙은 단순한 '명령'이 아니라 '예측 가능한 질서'임을 알려주세요.
2. 선택권 주기
"지금 정리할래, 5분 뒤에 할래?"
작은 선택이라도 자율성의 감각을 키워줍니다.
3. 일관성 유지하기
오늘은 봐주고 내일은 혼내면 규칙의 의미가 흐려집니다. 일관된 규칙은 아이에게 세상은 예측가능하다는 안정감을 줍니다.
규칙 거부는 '성장통', '반항'이 아니다
규칙을 거부하는 것은 문제행동이 아니라 성장 과정입니다. 아이는 스스로 통제하는 법을 연습하며, 이 과정을 통해 나중에 순서 지키기, 타협하기, 기다리기 같은 사회적 기술이 자리 잡습니다.
마무리
규칙을 싫어하는 아이는 아직 자기 조절력을 배우는 중입니다.
감정 공감 → 이유 설명 → 일관된 규칙 유지
이 세 가지가 자기 조절력을 키우는 핵심입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꾹!
댓글로 함께 소통해요!
티스토리 구독도 잊지 마세요 :)
감사합니다!
📘 함께 읽으면 좋은 글
성교육, 언제부터 어떻게 시작해야 할까? 아이의 질문에 당황하지 않는 대화법
성교육, 언제부터 어떻게 시작해야 할까? 아이의 질문에 당황하지 않는 대화법많은 부모님들이 "아직 어려서 성교육은 이르다."라고 생각하곤 합니다. 하지만 성교육은 특정 나이에 시작하는 것
dreamdcan.com
아이가 책을 자꾸 찢어요. 책과 친해지게 하는 방법 5가지
아이가 책을 자꾸 찢어요. 책과 친해지게 하는 방법 5가지“책만 보면 찢어요...”책을 펼치면 페이지를 넘기는 게 아니라 구기고, 뜯고, 물어뜯는 우리 아이.부모 입장에선 당황스럽고, 책과는
dreamdc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