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가르치며 배우는 제이251

유아기에 꼭 필요한 기본생활습관(자조기술) 기르기 유아 기본생활습관(자조기술) 기르기 안녕하세요. 교육기관에서 학기 초에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교육은 기본생활습관 기르기입니다. 특히 만 3세~5세의 유아기는 전두엽이 가장 빠르게 발달하는 시기로 이 시기에 배운 기본생활습관이나 인성, 도덕성, 감정조절은 올바른 성장을 위한 기초를 다지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기본생활습관은 자조기술이라고도 부르며 이는 독립적인 일상생활을 위한 필수 기술을 익히는 것이고, 유아기 때부터 형성된 기본생활습관은 쉽게 고쳐지지 않으므로 이 시기부터 올바른 습관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기본생활습관 교육의 내용 유아기 때 꼭 가르쳐야 하는 기본생활습관 교육의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질서: 사회적 규칙과 자기 통제, 타인에 대한 배려 및 소통 등에 대해 배워야 합니다... 2024. 1. 7.
어린이집 입소 준비: 입소 서류 및 준비물 꼼꼼하게 챙기기 어린이집 입소 준비: 입소 서류 및 준비물 꼼꼼하게 챙기기 안녕하세요. 요즘은 맞벌이 가구가 아니더라도 만 1세~2세 정도가 되면 어린이집을 많이 이용합니다. 집에서 부모님과 놀이하는 것에도 한계가 있고, 또래들과 어울리며 다양한 경험을 통해 사회성 발달 및 인지발달, 정서발달, 신체발달 등 전인적인 발달에 도움이 되기에 어린이집을 보내는 것은 여러 가지 장점이 있습니다. 어린이집 새 학기는 3월에 시작합니다. 입소 전에 서류 및 필요한 준비물들을 미리 챙겨두시어 등원 시 차질이 생기지 않도록 꼼꼼하게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오늘 글에서는 어린이집 입소 준비를 위한 서류 및 준비물에 대해 안내드립니다. 입소 서류 어린이집을 이용하게 되면 입소 시 필요한 서류들이 있습니다. 꼭 필요한 서류를 제출하지 않.. 2023. 12. 31.
영유아의 건강한 성장을 위한 간식 제공 방법 영유아의 건강한 성장을 위한 간식 제공 방법 영유아의 건강은 올바른 식습관에서부터 시작됩니다. 영유아에게 적절한 간식을 제공하는 것은 성장과 발달에 필수적입니다. 영유아들은 하루 3회 식사제공으로 충분한 열량과 영양소를 제공받기 어렵기 때문에 간식으로 보충해주어야 합니다. 이번 글에서 건강하고 영양가 있는 간식 제공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적절한 간식의 횟수와 양 영유아의 간식은 하루 2회(오전 1회, 오후 1회)가 적당합니다. 간식은 식사 사이에 배고픔을 채우고 부족한 영양소를 보충하기 위해 중요합니다. 간식은 규칙적인 시간에 제공하는 것이 좋고 다음 식사와 2시간 이상 간격을 두는 것이 좋습니다. 오전 10시경, 오후 3시경에 제공하는 것이 다음 식사와의 간격을 고려하여 알맞은 시간이며, 유치원.. 2023. 12. 29.
소아 강박증: 증상과 원인, 치료 방법에 대한 이해 소아 강박증: 증상과 원인, 치료 방법에 대한 이해 강박증이란 강박사고에 의한 생각과 행동이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정신 건강 장애입니다. 필자는 집 안에 머리카락이 떨어지는 것을 너무 싫어해서 집에 있을 때 핸드청소기로 머리카락이 보이면 계속 치우는데요, 스스로 이게 강박인가 생각도 듭니다. 오늘은 소아 강박증에 대한 글을 쓰려고 합니다. 소아강박증의 증상과 원인 및 치료 방법에 대한 내용을 적어보겠습니다. 소아 강박증이란? 소아 강박증은 어린이와 청소년에게 발생하는 정신 건강 장애로 강박적인 생각, 강박적인 행동, 강박적인 생각과 행동의 병행을 특징으로 합니다. ADHD(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틱 장애와 동반되기도 합니다. 다양한 증상이 나타나며 전문가의 도움과 치료를 통해 완화할 수 있으므로 발견했을.. 2023. 12. 27.
영유아 음식물 삼킴 사고 예방을 위한 방법, 올바른 음식 제공 안내 영유아 음식물 삼킴 사고 예방을 위한 방법, 올바른 음식 제공 안내 영유아의 음식물 삼킴 사고는 질식으로 이어질 수 있는 매우 위험한 사고입니다. 영유아들의 음식 섭취 시 삼킴 사고를 예방하는 방법과 음식물 제공 시 고려할 점에 대해 안내하겠습니다. 영유아들의 안전한 식품 섭취를 위해 항상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삼킴 사고 예방법 1. 적절한 식사 환경 조성하기: 영유아와 식사할 때에는 조용하고 안전한 환경을 조성합니다. 부모나 보호자는 휴대폰이나 텔레비전 등 다른 데에 집중하지 않고, 영유아가 먹는 모습을 관찰해야 합니다. 영유아가 너무 급하게 먹지 않도록 충분한 시간을 주는 것도 중요합니다. 2. 음식물의 크기와 형태 조절하기: 영유아에게 제공되는 음식물은 적절한 크기와 형태로 조절해주어야 합니다... 2023. 12. 26.
자꾸 소리 지르는 아이. 왜 그럴까요? 원인과 대처 방법 자꾸 소리 지르는 아이. 원인과 대처 방법 안녕하세요. 언어 표현이 미숙한 어린아이들은 자기표현의 방법으로 소리 지르는 행동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일상적인 수준을 지나쳐 자주 소리를 지르면 소리 지르는 행동으로 또래관계의 어려움과 다른 사람들에게 피해를 주는 등 문제가 생길 수 있으므로 대처가 필요합니다. 이번 글에서 자꾸 소리 지르는 아이의 원인과 대처 방법에 대해 알아봅니다. 소리 지르는 이유 1. 표현의 수단: 언어를 구사하기 이전에는 재미로 소리를 지를 수도 있지만, 언어 구사가 가능한 시기에는 자신의 감정 표현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불만 표출의 방법이나 자신의 힘과 영향력을 시험해 보기 위한 수단으로 소리를 지를 수 있으니 즉각적으로 요구를 들어주면 소리 지르는 것이 습관이 될 수 .. 2023. 12.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