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가르치며 배우는 제이

신생아 호흡곤란증후군(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RDS)

by 꿈꾸는 제이제이 2025. 11. 3.
반응형

신생아-질환에-대해-알려드립니다.

 

신생아 호흡곤란증후군(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RDS)

'신생아 호흡곤란증후군(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RDS)'은 폐가 충분히 성숙하지 않은 미숙아에게 주로 나타나는 질환으로, 폐 속의 표면활성제 부족으로 인해 호흡이 어렵게 되는 증상입니다. 출생 직후부터 빠르고 힘든 호흡, 청색증(입술이 파래짐), 흉곽 함몰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 신생아 호흡곤란증후군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신생아 호흡곤란증후군의 원인

가장 큰 원인은 폐표면활성제의 부족입니다. 이 물질은 폐의 작은 공기주머니(폐포)가 잘 펴지도록 도와주는데, 미숙아의 경우 이 물질이 충분히 만들어지지 않습니다. 그 외 원인으로는 조산(임신 37주 이전 출산), 산모의 당뇨병, 제왕절개로 인한 폐 성숙 지연, 저체온, 감염, 저산소증 등이 있습니다.

 

신생아 호흡곤란증후군 증상

출생 직후부터 다음과 같은 증상이 보이면 즉시 의료진의 진료가 필요합니다.

▶ 빠른 호흡(분당 60회 이상)

▶ 코 벌렁거림, 가슴 함몰

▶ 신음소리

▶ 입술과 손발이 파래짐(청색증)

▶ 호흡 불규칙, 무호흡

이 증상들은 단순한 일시적 호흡곤란이 아닌, 폐기능 미성숙으로 인한 응급상태일 수 있습니다.

 

미숙아의-건강은-잘-살펴야합니다.

 

치료 방법

치료는 호흡을 돕고 폐의 성숙을 유도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1. 산소 공급 또는 인공호흡기 치료

산소 CPAP(지속적 기도양압) 치료로 호흡을 보조합니다.

2. 폐표면활성제 투여

기관을 통해 직접 폐 안으로 주입하여 폐포가 잘 펴지도록 돕습니다.

3. 체온 유지 및 감염 예방

인큐베이터 내에서 체온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감염을 방지합니다.

4. 정맥 영양 공급

스스로 먹기 어려운 경우 정맥을 통해 영양을 제공합니다.

 

예후와 관리

치료 기술이 발달하면서 생존율이 크게 향상되었습니다. 대부분의 아기는 적절한 치료 후 정상적인 폐 기능을 회복합니다. 하지만 심한 미숙아(임신 28주 미만)의 경우 폐질환이 오래 지속되거나 기관지폐이형성증으로 발전할 수도 있으므로, 퇴원 후에도 정기적인 폐 검사 및 소아과 추적관찰이 필요합니다.

 

예방 방법

조산 예방이 가장 중요합니다. 조산이 예상될 경우 산모에게 스테로이드(덱사메타손)를 투여해 태아의 폐 성숙을 돕습니다. 산모의 당뇨, 감염 관리 또한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부모가 알아둘 점

신생아 호흡곤란증후군은 대부분 의학적 치료가 필요한 응급질환이지만, 현대 신생아 중환자실의 치료 기술 덕분에 많은 아기들이 건강하게 회복합니다. 출산 전 조산 위험이 있거나, 출생 직후 아기의 호흡이 빠르고 힘들다면 즉시 의료진의 도움을 받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꾹!

댓글로 함께 소통해요!

티스토리 구독도 잊지 마세요 :)

감사합니다!

 

 

🔎 함께 읽으면 좋은 글

 

 

영아 돌연사 증후군(SIDS)

영아 돌연사 증후군(SIDS) 영아 돌연사 증후군(Sudden Infant Death Syndrome, SIDS)은 생후 1세 미만의 아기가 예기치 않게 잠자는 동안 사망하는 현상으로, 그 원인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dreamdcan.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