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가르치며 배우는 제이

새 학기 어린이집, 유치원 아이들과 교사의 긍정적 관계 형성

by 꿈꾸는 제이제이 2024. 2. 25.
반응형

새-학기-교사와-아이들의-관계-형성이-중요합니다.
출처: 픽셀스닷컴

 

새 학기 어린이집, 유치원 아이들과 교사의 긍정적 관계 형성

안녕하세요. 새 학기에 어린이집과 유치원에 처음 입학한 아이들은 교사와 아직 신뢰감이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불안한 마음이 큽니다. 이러한 아이들이 교사를 신뢰하고 긍정적인 관계를 맺기 위해 교사는 여러 가지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새 학기 아이들의 기관 적응을 위해 교사의 역할에 대한 내용을 다루겠습니다.

 

교사의 역할

 

1. 아이의 개별 성향 파악하고 도움주기

처음 기관에 온 아이들은 각각 다른 성향을 보이며 활동하는 모습에도 차이가 있습니다. 어떤 아이는 호기심이 많아 교실의 놀잇감을 적극적으로 탐색하고, 어떤 아이는 움직임 없이 가만히 관찰만 하기도 하고, 어떤 아이는 계속 불안함을 보이는 등 다양한 모습이 나타납니다. 각각 다른 모습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존중하며 성향에 맞게 적절한 도움을 주어야 합니다.

- 적극적으로 탐색하는 아이: 아이가 적극적으로 놀잇감을 탐색하고 흥미를 보이면 교사는 흐름이 끊기지 않도록 놀이 과정에 관심을 갖고, 아이가 표현하는 말에 적절한 반응을 해 줍니다. 이러한 아이들은 과도한 개입을 했을 때 오히려 놀이에 방해가 될 수도 있으므로 교사는 상황에 따라 적절한 개입을 합니다.

- 교사의 주위를 맴도는 아이: 아이가 스스로 놀이하지 못하고 교사의 주위를 맴돌기만 하면 교사는 아이에게 여러가지 놀이를 권유해 보고 관심을 보이는 놀이를 함께 해 주며 놀이에 참여시켜 줍니다. 교사가 놀이를 권유해도 선택하지 못하면 교사가 특정 놀잇감으로 놀이해 줄 수도 있고, 친구들의 놀이를 함께 관찰해 볼 수 있습니다.

- 불안해하며 우는 아이: 놀이에 참여하지 않고 계속 울기만 하는 아이는 교사가 여러가지 대화를 나누며 아이가 자연스럽게 울음을 그치도록 유도합니다. 아이는 "울지 마."라고 말한다고 그치지 않기 때문에 화제 전환이 중요합니다. 아이에게 좋아하는 색깔을 물어보거나, 좋아하는 장난감을 물어보거나, 선생님을 도와서 어떤 일을 시키거나, 어떠한 미션을 주면 자연스럽게 울음을 그칠 수 있습니다.

- 아무것도 하지 않고 가만히 있는 아이: 아무 놀이도 하지 않고, 교사가 관심보이는 것도 불편해하며 가만히 앉아서 지켜보기만 하는 아이는 시간이 필요한 아이입니다. 이런 아이들은 억지로 놀이에 참여시키거나 과도한 관심을 가지면 불편해하기 때문에 혼자서 관찰하고 충분히 탐색하는 동안 기다려주어야 합니다. 그렇다고 무관심하게 혼자 두어서는 안 되며 중간중간 교사의 관심과 애정을 표현해 줍니다. 예를 들어 "우리는 지금 기차놀이를 하고 있는데 OO이도 하고 싶으면 언제든지 와서 해." "친구들은 지금 블록으로 집을 만들고 있네." 등 관찰하고 있는 아이에게 중간중간 관심을 표현합니다.

 

교사와-아이의-긍정적-관계-형성은-중요합니다.
출처: 픽셀스닷컴

 

2. 아이에 대한 관심 표현하기

교사가 아이에 대한 관심을 표현해주면 아이는 교사와 금방 친밀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오늘 분홍색 리본핀을 하고 왔네?" "어제 아빠랑 키즈카페 갔다 왔다며?" "오빠는 학교에 갔지?" 등 아이의 주변 상황에 대해 관심을 갖고 이야기를 건네면 아이도 자연스럽게 이야기를 나눕니다. 교사는 아이에 대한 관심 표현을 위하여 사전에 아이의 가정환경, 아이가 좋아하는 것, 아이의 경험 등에 대해 정보를 얻고 대화를 나눌 수 있습니다.

 

3. 일상적인 대화 나누기

아이와 일상적인 대화를 나누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교사는 등원한 아이와 일상적인 대화를 통해 관심과 애정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오늘 아침에는 뭐 먹고 왔어?" "주말에는 뭐 하고 놀았니?" 등 자연스러운 일상 대화는 아이와 친밀감 형성에 중요한 요소입니다.

 

4. 아이를 사랑하고 보호한다는 믿음 심어주기

아이들과 지내다보면 여러 가지 상황에 처하게 됩니다. 아이들 간의 다툼을 중재해야 할 때도 있고, 안전과 관련된 행동을 지도해야 할 때도 있습니다. 그럴 때에는 훈육을 하게 되는 경우도 생기게 됩니다. 훈육 상황에서 교사는 "소중한 네 몸이 다칠까 봐 걱정돼서 그래." "널 너무 사랑하니까 위험한 장난을 하면 다칠까 봐 걱정돼." "선생님은 항상 네가 어려울 때 도와줄 거야." "너를 사랑하기 때문에 알려주는 거야." 등의 표현을 통해 아이를 사랑하고 보호하는 존재임을 알려줍니다.

 

5. 아이의 요구에 적극적으로 반응해주기

아이들마다 개별적인 요구가 많이 있을 수 있습니다. 특히 불안감이 있는 새 학기에는 아이들의 요구가 더 많이 생깁니다. 교사는 바쁘겠지만 아이들의 요구에 민감하게 반응을 해 주어야 합니다. 아이의 요구를 즉각 들어줄 수 없는 상황에서는 지금 당장 요구를 들어줄 수 없는 이유를 설명하고 기다릴 수 있도록 안심시켜주어야 합니다. 

 

결론

새 학기 불안감이 많은 아이들을 안심시키고 긍정적인 관계를 맺기 위해 교사는 여러 가지 노력을 해야 합니다. 아이의 개별 성향을 존중하고 성향에 따른 반응을 해 주며 아이와 친근감을 형성하기 위해 관심을 표현하고 일상적인 대화를 많이 나눠야 합니다. 또한 아이를 항상 사랑하고 보호하고 지지한다는 표현을 해 주고, 아이의 요구에 적극 반응해 주면 불안한 마음과 경계는 점점 사라지게 될 것입니다. 교사의 노력으로 아이와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한다면 아이는 교사를 잘 따르고 기관 생활에 잘 적응하게 될 것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