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가르치며 배우는 제이

아이가 말을 안 들어요? 혹시 '표현 못하는 아이'일지도 몰라요

by 꿈꾸는 제이제이 2025. 4. 26.
반응형

아이-양육에-도움-되는-정보를-알려드립니다.

 

🧒 아이가 말을 안 들어요? 혹시 '표현 못하는 아이'일지도 몰라요

"자꾸 말을 안 듣고 고집을 부려요."

"하지 말랬는데 또 하네요."

"도대체 왜 이러는 걸까요?"

이런 상황, 많은 부모님들이 한 번쯤 경험해 보셨을 거예요. 그런데, 아이가 정말 말을 '안' 듣는걸까요? 아니면 '못' 듣고 있는 걸까요?

 

1. '말 안 듣는 아이 vs '표현 못 하는 아이'

두 유형은 겉으로 보기에는 비슷하지만, 원인과 접근 방식이 전혀 다릅니다.

구분 말 안 듣는 아이 표현 못 하는 아이
의도
알면서 일부러 거부 몰라서 반응이 서툼
언어 능력 평균 또는 높음 낮거나 말수 적음
감정 표현 자기주장이 강함 주로 비언어(울기, 떼쓰기 등)로 표현
행동 경계 넘기, 규칙 깨기 회피, 혼란, 위축된 행동
원인 경계 실험, 독립성 욕구 언어 미성숙, 감정 인식 부족

아이가 말귀를 잘 알아듣지만 반응이 즉각적이고 강하다면 '말 안 듣는 아이', 알아듣는데 시간이 걸리고 감정이 서툴다면 '표현 못하는 아이'일 가능성이 높아요.

 

2. 표현 못하는 아이는 어떤 모습일까요?

● 무언가 필요할 때 울음, 짜증으로 표현

● 질문에 대답하지 않고 시선 회피

● "몰라요.", "싫어요."로만 반응

● 자주 실수하고도 설명을 못함

● "말 좀 해 봐."하면 더 위축됨

이런 아이는 말을 '안'하는 게 아니라, 어떻게 말해야 할지 몰라서 못 하는 경우가 많아요.

 

아이의-감정을-살펴봐야-합니다.

 

3. 어떻게 구별하고 도와줘야 할까?

✔ Step 1. 감정 인식부터 도와주세요

● "화났어?", "속상했구나?" → 감정을 언어로 이름 붙이기

● 매일 자기 전, "오늘 기분 어땠어?" 질문하기

✔ Step 2. 말을 듣지 않는 이유를 찾아보세요

● "안 해!" 대신 "왜 싫은데?" → 이유를 묻고 들어주는 태도

● 즉각 훈육보다 상황을 이해하는 질문부터

✔ Step 3. 표현할 기회를 만들어주세요

● 그림카드, 표정카드, 말풍선 스티커 등 시각 자료 활용

● "속상할 때 이렇게 말해볼까?" 연습하기 (예: "놀이터에 못 가서 슬펐어요.")

아이의 '말 안듣는 행동'에 바로 제지하기보다, "이 행동에 어떤 감정과 이유가 있을까?"를 먼저 생각해 보는 습관이 중요해요.

 

4. 부모가 기억해야 할 한마디

"행동에는 언제나 이유가 있고, 아이는 표현하는 법을 배우는 중이예요."

'말 안 듣는 아이'도 '표현 못 하는 아이'도 결국 부모의 반응과 환경을 통해 자라납니다. 혼내기보다 "이 아이는 무엇을 느끼고 있을까?"를 먼저 묻는 태도가 진짜 교육의 시작이에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