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가르치며 배우는 제이

관찰을 바탕으로 한 개별화 교육계획 사례

by 꿈꾸는 제이제이 2025. 8. 26.
반응형

유아-교사는-아동-관찰을-잘-해야-합니다.
유아의 놀이 관찰은 매우 중요합니다.

 

관찰을 바탕으로 한 개별화 교육계획 사례

유아교육 현장에서 교사의 핵심 역량은 정확한 관찰과 그 결과를 개별화 교육계획으로 연결하는 능력입니다. 아래 실제형 사례로, 관찰→분석→목표→실행→재관찰의 흐름을 한눈에 정리했습니다.

 

1️⃣ 관찰 일화 사례(일화기록)

상황: 자유놀이 시간, 블록 영역

아동 A: 구조물을 세우다 무너지면 즉시 놀이를 중단하고 다른 영역으로 이동

교사 메모: “좌절 시 ‘안 해!’라고 말하며 회피. 성공 경험 후에는 미소와 재시도 의사 표현.”

핵심은 “잘함/못함”의 판단이 아니라, 행동의 맥락과 감정 반응, 도움 요청 여부까지 기록하는 것입니다.

 

2️⃣ 관찰 분석: 발달 영역 연결

  • 인지: 문제 해결 지속성 낮음, 재시도 전략 부족
  • 운동(소근육): 조작·힘 조절 미숙(큰 블록 → 작은 블록 단계 필요)
  • 정서·사회성: 실패 대처에 어려움, 성인 도움 요청 아직 제한적
  • 언어: 상황 설명 언어는 가능하나, 구체적 도움 요청 문장 연습 필요

분석의 목적은 지원이 필요한 영역과 강점을 분리해 명료화하는 것입니다.

 

3️⃣ 개별화 목표(SMART)

단기 목표(2주): 블록 놀이를 5분 이상 지속하며, 무너졌을 때 1회 이상 재시도한다.

중기 목표(8주): 교사 힌트만으로 스스로 해결 전략 2가지 이상(받침 이용/층 낮추기 등)을 시도한다.

SMART 원칙: 구체적(S)·측정가능(M)·달성가능(A)·관련성(R)·기한(T)

 

교사는-아동의-놀이를-유심히-봐야-합니다.
교사는 유아의 놀이 관찰을 토대로 개별화 계획을 수립합니다.

 

4️⃣ 지원 전략(환경·자료·상호작용)

환경·자료

  • 큰 블록 → 작은 블록 난이도 단계화
  • 안정판·받침 제공으로 초기 성공 경험 설계
  • 완성작 사진 전시로 자기효능감 강화

상호작용(언어 스캐폴딩)

  • 과정 중심 피드백:“끝까지 해보려는 모습이 멋지다.”
  • 전략 힌트:“이번엔 받침을 먼저 놓고 시작해볼까?”
  • 감정 명료화:“무너져서 속상했구나. 다시 해볼 방법을 같이 찾아보자.”

협력

  • 필요 시 특수교사·언어치료사와 협의, 가정과 연계 과제 제시

 

5️⃣ 실행 & 피드백(2주 운영 기록)

주차/일자 지원 전략 관찰 변화 다음 포인트
1주차 큰 블록+안정판, 교사와 공동 구성 놀이 4→6분, 무너짐 후 1회 재시도 힌트 최소화, 언어적 자기지시 유도
2주차 작은 블록 부분 도입, 전략 질문 제시 도움요청 언어 증가, 2회 재시도 관찰 또래 협동 놀이로 일반화 시도

운영 기록은 객관적 수치(시간·횟수)질적 변화(표정·언어)를 함께 남겨 신뢰도를 높입니다.

 

6️⃣ 교사 팁 & 부모 상담 포인트

  • 기록은 짧고 구체적으로|상황·행동·교사 반응을 한 문장씩
  • 강점 기반으로 목표를 설계해 동기를 살리기
  • 부모 상담 시 사진·작품 포트폴리오로 변화를 보여주기
  • 가정 연계|큰 블록부터 시작, “다시 해보기” 언어 모델링

 

7️⃣ 자주 묻는 질문(FAQ)

Q1. 한 번의 그림이나 놀이만으로 판단해도 되나요?

아니요. 반복 관찰과 다양한 상황의 기록을 종합해 해석해야 합니다.

 

Q2. 개별화 계획이 “부족한 점 보완”에만 치우치면?

강점을 함께 목표에 엮어 동기와 자기 효능감을 동시에 높이세요.

 

Q3. 부모에게 어떻게 설명하면 좋을까요?

과정 사진·짧은 영상과 함께 구체적 변화 지표(시간·횟수)를 제시하세요.

 

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꾹!💙 댓글로 함께 소통해요!

티스토리 구독도 잊지 마세요 :)

감사합니다!

 

📌 함께 읽으면 좋은 글

 

 

초임교사를 위한 관찰일지 문장 예시 ✏️ 놀이 중심 언어로 쉽게 쓰는 팁

초임교사를 위한 관찰일지 문장 예시 ✏️ 놀이 중심 언어로 쉽게 쓰는 팁관찰일지를 쓸 때마다 “뭘 써야 하지?” 막막하셨나요?특히 초임 교사라면 놀이 중심 언어로 기록하는 데 익숙하지 않

dreamdcan.com

 

 

“교사는 그냥 지켜만 본다?” 자유놀이 시간의 오해와 진실

“교사는 그냥 지켜만 본다?” 자유놀이 시간의 오해와 진실 유치원, 어린이집에서 자주 듣는 ‘자유놀이 시간’. 이 시간에 아이들은 자유롭게 놀고, 교사는 그저 바라보며 쉬고 있을까요?자유

dreamdcan.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