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티어 의사소통, 부모와 교사가 꼭 알아야 할 대화법
아이와의 대화, 학부모 상담, 교사 간 협력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의사소통입니다.
그중에서도 전 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진 '사티어 의사소통(Satir Communication)'은 부모와 교사가 꼭 알아두면 좋은 대화법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사티어 의사소통의 의미, 5가지 유형, 아이와 활용하는 방법까지 자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 사티어 의사소통이란?
사티어 의사소통은 가족치료 전문가인 버지니아 사티어(Virginia Satir)가 제시한 이론으로, 말·표정·몸짓·감정이 일치하는 건강한 대화를 의미합니다.
즉, 내 마음을 솔직히 표현하면서도 상대방을 존중하는 소통 방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의사소통법은 아이의 자존감 형성, 신뢰 있는 관계, 갈등 예방에 큰 도움이 됩니다.
🔎 사티어 의사소통 5가지 유형
1. 회유형 (Placater)
- 상대방 기분만 맞추고 자기감정을 억누르는 방식
- 예: “다 내 잘못이야, 네가 맞아.”
2. 비난형 (Blamer)
- 문제의 원인을 타인에게 돌리는 방식
- 예: “네가 그래서 일이 이렇게 된 거야.”
3. 초이성형 (Super-reasonable)
- 감정을 무시하고 논리와 원칙만 강조
- 예: “규칙상 원래 이렇게 해야 돼.”
4. 산만형 (Irrelevant)
- 문제를 회피하고 엉뚱한 말로 상황을 흐리는 방식
- 예: 질문에 다른 이야기로 넘어가기
5. 일치형 (Congruent) → 건강한 의사소통
- 말, 행동, 감정이 조화된 대화
- 예: “네가 장난감을 던져서 나는 속상했어. 앞으로는 바닥에 두면 좋겠어.”
👩👧 아이와의 대화 예시
❌ 불일치형 대화
아이가 장난감을 던졌을 때
- 회유형: “괜찮아, 다 네 잘못 아니야.”
- 비난형: “왜 자꾸 던져! 너 때문에 시끄럽잖아.”
✅ 일치형 대화
- “네가 장난감을 던져서 나는 속상했어. 장난감은 바닥에 두고 놀자.”
👉 이렇게 말하면 아이의 행동을 지적하면서도 감정과 바람을 솔직히 표현할 수 있습니다.
🌱 부모와 교사가 활용할 수 있는 방법
- 아이 지도할 때
- 행동 지적 대신 감정 + 바람을 말하기
- “네가 크게 소리쳐서 귀가 아파. 조금만 조용히 해줄래?”
- 학부모 상담할 때
- 비난하지 않고 관찰 중심으로 설명
- “아이가 수업 중 자주 자리를 이탈해요. 집중 시간이 짧은 것 같아요. 집에서도 비슷한지 궁금합니다.”
- 교사 간 소통할 때
- 불만을 돌려 말하지 않고 솔직히 표현
- “회의 준비가 늦어져서 부담이 됐어요. 다음에는 시간을 지켜주면 고맙겠어요.”
✨ 사티어 의사소통이 주는 효과
- 아이의 자존감 향상
- 부모·교사와의 신뢰 관계 강화
- 갈등 예방 및 해결
- 교실과 가정 모두에 긍정적인 분위기 조성
📌 마무리
사티어 의사소통은 단순한 대화 기술이 아니라,
아이와 부모, 교사 모두가 행복해지는 마음 성장의 방법입니다.
오늘부터는 아이에게 “왜 그래?” 대신
👉 “네가 그렇게 해서 나는 ~~ 하게 느꼈어. 그래서 ~~ 했으면 좋겠어.”
라고 말해보세요.
작은 변화가 아이의 마음을 지켜주고, 교사와 부모의 관계를 더욱 건강하게 만들어 줄 것입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꾹!
댓글로 함께 소통해요!
티스토리 구독도 잊지 마세요 :)
감사합니다!
🔖 함께 읽으면 좋은 글
유아교사와 학부모의 신뢰 구축 및 긍정적 관계 유지 방법
유아교사와 학부모의 신뢰 구축 및 긍정적 관계 유지 방법유아교육에서 교사와 학부모 간의 신뢰는 아이의 성장과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긍정적인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서로가 가
dreamdcan.com
자존감의 중요성, 자존감 높은 아이들의 특징
자존감의 중요성, 자존감 높은 아이들의 특징안녕하세요. 오늘은 자존감이 높은 아이들의 특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자존감은 아이의 정서적 안정과 사회적 관계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dreamdcan.com